
돌잔치에 받은 소중한 돌반지, 보관만 하다 어느 순간 ‘지금 팔면 얼마 받을까?’가 궁금해지죠. 문제는 금값이 매일 움직이고, 살 때 가격과 팔 때 가격이 다르며, 매장마다 공제(수수료)가 제각각이라는 점. 이 글은 초보도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리스트·계산법·매장 선택법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근거·링크 포함)
한눈에 보기 (요약)
1돈=3.75g. 계산은 그램 단가 × 3.75g가 기본.
시세는 매일 변동. 거래 직전 KRX 금현물 시세(1g 단가)와 국내 거래소의 ‘내가 팔 때(3.75g)’ 시세를 반드시 같이 확인하세요.
팔 때 가격은 ‘매입 시세’ 기준. 공임·부가세가 포함된 ‘살 때’ 가격과 혼동 금지. 국내 거래소 시세판에 살 때/팔 때(3.75g)가 따로 게시됩니다.
신분증 필수. 오프라인 방문·우편 매입 모두 신분증(통장 사본 포함)을 요구합니다.
KRX 금현물은 장내 거래 시 부가세 면제, 실물 인출 때만 부가세 10%(추가 비용 포함). 투자·차익 과세는 없음(장내).
1) 기본 단위부터: ‘1돈’이 뭐죠?
한국 전통 중량 단위 1돈=3.75g. 해외 기사에서 보이는 트로이온스(oz)는 1oz=31.1035g로 단위가 다릅니다. 시세를 볼 땐 g 단가 ↔ 돈(3.75g) 환산을 꼭 확인하세요.
2) “오늘 내 돌반지 1돈, 얼마에 팔까?” — 가장 안전한 확인 루트
- KRX 금현물 시세(1g) 확인 → g 단가에 ×3.75로 1돈 ‘참고가’를 만든다. 한국거래소 데이터시스템
- 국내 금거래소 시세판에서 ‘내가 팔 때(3.75g)’ 단가 확인(순도별 24K/18K/14K 분리 표기). goodgold.co.kr
- 두 값을 비교해 그날의 합리적 범위를 잡고, 견적 전화 2~3곳으로 최종 수령액(수수료 포함)을 확인한다. goodgold.co.kr
예: 국제표준금거래소 시세판에는 날짜별로 “살 때/팔 때(3.75g)”가 분리 공시됩니다. 같은 주에도 수만원 단위 변동이 가능하니 거래 직전 재확인이 필수입니다. goodgold.co.kr
3) 최종 수령액, 이렇게 계산하세요 (공제 체크가 관건)
기본식
- 최종 수령액 = 당일 ‘매입 시세’(3.75g·순도 반영) − 공제(분석/정련 등)
실전 예시(참고용)
- 조건: 24K(순금) 1돈, 당일 매장이 제시한 매입 시세 1돈 = 730,000원(가정), 분석·정련 5,000원 공제
- 계산: 730,000 − 5,000 = 725,000원 수령 예상
※ 실제 공제 항목·금액은 매장별로 다릅니다. 시세판의 ‘내가 팔 때’ 금액이 공제 전/후인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goodgold.co.kr
4) 어디서 파는 게 유리할까? (장단점 비교)
① 전문 금거래소(한국표준금거래소·한국금거래소 등)
- 장점: 시세판이 공개돼 비교가 쉽고, 우편 매입 등 절차가 표준화.
- 체크: 신분증·통장 사본 제출은 필수. 도착일 시세 적용, 거래 전 추가 공제(분석/정련) 유무 확인.
② 동네 금은방
- 장점: 접근성·즉시 현금화.
- 체크: 매장마다 매입 단가·공제 편차가 큼 → 최소 2~3곳 비교 견적 권장.
③ KRX 금현물(증권사 MTS/HTS)
- 장점: 장내 거래는 부가세 면제, 차익 과세 없음. 가격은 1g 단가로 투명.
- 유의: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및 인출 관련 비용(출고·보관 등) 발생. 인출 계획이 없다면 세금 부담 최소화 가능.
5) 거래 직전 ‘손해 방지’ 체크리스트 8
1.신분증 지참/사본 동봉(우편): 본인확인·도난 방지 목적. 통장 사본도 요구.
2.단위 확인: g ↔ 돈(3.75g) 환산 착오 금지.
3.순도 확인: 24K/18K/14K 각인(999/750/585 등) 별로 매입가가 다름. (시세판에 순도별 표기)
4.살 때/팔 때 구분: 팔 때는 매입 시세 기준. ‘살 때’ 가격(부가세·공임 포함)과 혼동 주의.
5.공제 항목 서면 확인: 분석·정련·기타 수수료가 별도 차감인지 문의해 문자·카톡으로 받기.
6.비금속 제외: 보석·장식·줄 등은 중량에서 제외(순금 중량만 평가). (매입 절차 고지사항 참고)
7.최소 2~3곳 비교: 같은 날에도 제시가가 달라질 수 있음(시세판+전화 견적 병행).
8.KRX 활용 전략: 투자·매도만 할 땐 부가세 無, 실물 인출 시 10% 부가세·출고비용 발생.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돌반지 팔 때 신분증 꼭 필요한가요?
A. 네. 오프라인 방문은 본인확인→결제 순서로 진행되고, 우편 매입은 신분증·통장 사본 동봉이 명시돼 있습니다.
Q2. 골드바가 돌반지(주얼리)보다 매입가가 좋은가요?
A. 일반적으로 골드바는 공임이 적어 환금성·매입 단가가 유리하고, 주얼리는 공임이 매입가에 반영되지 않음(순금 중량 기준). 시세판의 ‘내가 팔 때(3.75g)’ 항목으로 순도별 비교를 권장합니다.
Q3. KRX 금현물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A. 장내 거래는 부가세 면제·차익 과세 없음. 다만 실물 인출 시에만 부가세 10%와 인출 관련 비용이 붙습니다.
Q4. 오늘 시세는 어디서 가장 정확히 보나요?
A. KRX 정보데이터시스템(1g 단가) + 국제표준금거래소 시세판(‘내가 팔 때’ 3.75g)를 같이 보세요. 두 값을 교차 확인하면 편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7) 바로 쓰는 ‘전화 견적’ 템플릿
안녕하세요. 순금(24K) 돌반지 1돈 매입 견적 문의드립니다.
- 오늘 귀점(거래소)의 ‘매입 시세’(3.75g 기준)는요?
- 분석/정련/기타 공제 항목과 금액은요? (최종 수령액 기준으로 안내 부탁)
- 신분증/지참 서류와 결제 방식(현금/계좌)은요?
- 방문 시간대 대기/측정 절차(계근·순도 확인)는요?
8) ‘손해 없는’ 워크플로우
KRX(1g) 시세 캡처 → ×3.75로 1돈 환산.
국내 거래소 시세판 ‘내가 팔 때(3.75g)’ 확인(순도별).
전화 2~3곳 견적(매입 단가·공제 항목·최종 수령액 3줄 요약 요청).
신분증·통장 준비(우편은 사본 동봉).
현장 측정·영수증 보관 후 매도.
참고/출처
- 1돈=3.75g 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내 거래소 시세판(‘내가 팔 때/살 때’, 3.75g 표기): 국제표준금거래소 시세조회. => 홈페이지 바로가기
- KRX 금현물(장내 부가세 면제·1g 단가 공시):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 홈페이지 바로가기
- KRX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기타 비용: 키움증권 금 현물 안내/수수료.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신분증 필수(방문/우편 매입 절차): 한국표준금거래소 FAQ.
함께 보면 좋은글
[2025년 금 시세 전망 – 시니어가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Q&A 총정리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방법 & 활용 가이드|실업급여 180일·이직·경력증명 완벽정리
[2025 새출발기금 확대 지원 완벽정리 (소상공인 채무 최대 90% 감면·20년 분할상환)